어디 한번 구해 보시지 (Small)

구간 [x,y]z가 주어진다. 아래의 정보를 모두 구해보자. [x,y]에서 z보다 작은 수의 개수 [x,y]에서 z보다 큰 수의 개수 [x,y]에서 z의 약수에 속한 수의 개수 [x,y]에서 z를 약수로 갖는 수의 개수 z를 이진수로 나타내었을 때, 1인 비트의 개수 두 정수 a,b에 대해 ...

2 3

어디 한번 구해 보시지 (Large)

구간 [x,y]z가 주어진다. 아래의 정보를 모두 구해보자. [x,y]에서 z보다 작은 수의 개수 [x,y]에서 z보다 큰 수의 개수 [x,y]에서 z의 약수에 속한 수의 개수 [x,y]에서 z를 약수로 갖는 수의 개수 z를 이진수로 나타내었을 때, 1인 비트의 개수 두 정수 a,b에 대해 ...

2 3

구구단

N이 주어진다. 구구단 N단을 출력해보자.

4 4

End Of File

End Of File(이하 EOF)이란, 단어 뜻 그대로 데이터 파일로부터 더 이상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낸다. 언어마다 EOF를 처리하는 문법이 상이할테니, 사용 언어에 맞게 EOF 처리 방식을 배워보도록 하자.

4 9

빠른 입출력

같은 입출력이라도, 어떤 방식을 사용하냐에 따라 그 속도는 천차만별일 수 있다. 대표적으로 C, C++, JAVA, Python에서의 빠른 입출력 방식을 요약해보자면 아래와 같다. C : scanf(), printf()는 이미 그 자체로 충분히 빠른 입출력 함수에 속한다. C++ : C의 입출력 방식을 써도 ...

1 1

피보나치 수 1

피보나치 수 Fn은 다음으로 정의되는 수열이다. 0번째 항 F0=0을 시작으로 초항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. 0,1,1,2,3,5,8,13,... n이 주어질 때, n번째 피보나치 수 Fn을 구해보자.

1 1

피보나치 수 2

피보나치 수 Fn은 다음으로 정의되는 수열이다. 0번째 항 F0=0을 시작으로 초항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. 0,1,1,2,3,5,8,13,... n이 주어질 때, n번째 피보나치 수 Fn을 구해보자.

2 2

피보나치 수 3

피보나치 수 Fn은 다음으로 정의되는 수열이다. 0번째 항 F0=0을 시작으로 초항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. 0,1,1,2,3,5,8,13,... n이 주어질 때, n번째 피보나치 수 Fn을 구해보자.

2 2

ab

두 정수 a,b가 주어졌을 때, ab의 값을 구해보자.

1 1
«
1
2
3
4
5
»